안녕하세요, 오늘은 인적분할과 인적분할 후 주가 흐름이 어떻게 됐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인적분할이란?
회사를 2개의 각기 다른 회사로 분할하는 것을 뜻합니다.
"홍길동"이라는 기업이 있다면, 이 기업을 "홍길동"과 "정길동"으로 쪼개는 것이죠.
홍길동이라는 기업의 자산을 설정한 비율에 따라 홍길동이라는 기업과 정길동이라는 기업으로 나누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주주는 지분율에 따라 설정한 비율 대로 홍길동이라는 기업과 정길동이라는 기업의 지분을 각각 분배받게 됩니다.
인적분할 후 주가 흐름은 어떻게 될까?
모든 이슈가 그렇듯 인적분할 역시 명백한 호재 혹은 악재라고 볼 수 없습니다. 다만, 거시경제적 흐름과 해당 기업의 인적분할 배경에 따라 어느 정도 예측할 수는 있습니다.
신설회사와 기존 회사가 어떤 사업을 총괄하느냐에 따라 재무건전성에 있어 큰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매출구조 및 순이익 등 매출과 이익에 관련한 부분 역시 확인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이외에도 분할 후 지주회사 체재로의 전환이 이뤄진다면 상속, 증여 등과 관련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됩니다.
인적분할 사례
2023년
1. STX - STX 그린로지스
2023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9월 13일 재상장 예정
2. 시알홀딩스 - 조선내화
2023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7월 28일 재상장
3. 동국홀딩스 - 동국제강 - 동국씨엠
2023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6월 16일 재상장
4. 이수화학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2023년 5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5월 31일 재상장
5. OCI홀딩스 - OCI
2023년 5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5월 29일 재상장
6. 현대지에프홀딩스 - 현대그린푸드
2023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4월 10일 재상장
7. 한화솔루션 - 한화갤러리아
2023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3월 31일 재상장
8. 코오롱글로벌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2023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3년 1월 31일 재상장
2022년
1. 파인테크닉스 - 파인엠텍
2022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2년 10월 7일 재상장
2. 유니드 - 유니드비티플러스
2022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2022년 11월 28일 재상장
이렇게 다양한 기업이 인적분할을 실시했습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적분할은 주가에 호재일 수도, 악재일 수도 있습니다. 기업이 정말 신사업의 성장을 위해 분할을 실시한다면 호재가 될 것이고, 지배기업의 규모를 줄여 상속 혹은 증여 부분에서 이점을 얻고자 분할을 실시한다면 악재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금융, 재테크 정보 모아보기 > 국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자본 혹은 소자본 창업 아이템 (1) | 2023.12.22 |
---|---|
각 금융사별 CMA 금리 정리 및 개설 방법 (조건 없이 금리 높은 계좌, 일복리 계좌, CMA란?) (1) | 2023.09.02 |
댓글